2023. 6. 23. 09:52ㆍ카테고리 없음
옛말에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으면 성장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다'고 했지만, 최근 들어 젊은 세대들은 가정을 이루지 않거나 결혼을 늦추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현재 30대들이 결혼을 하지 않거나 미루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그 이유와 이들의 선택이 미래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1.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않는 30대의 이유**
30대 남성과 여성 모두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않는 원인들이 존재한다. 그 중 몇 가지 주요 이유로는 다음과 같다.
1.1 경제적 이유
경제적 부담이 큰 배경에서 결혼을 미루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 월급 대비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서 부동산 대출 부담으로 인해 젊은 세대들의 부담이 커져왔다. 이런 환경 속에서 결혼식, 신혼집 꾸미기, 생활비용 등의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2 취업 어려움과 불안정한 직장생활
취업 시장의 경쟁률이 높고,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자칫하면 일기토로 퇴출되거나 계약직으로 일을 시작하여 불안정한 직업 생활을 보내는 30대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정을 꾸리고 후손을 낳고 길러내기 위해서는 경제적 불안정만이 아닌 직장 생활이 적어도 어느 정도 안정된 환경을 바탕으로 가정을 꾸리고 싶다는 생각이 크다.
1.3 자유를 추구하는 삶의 가치
현대 젊은 세대들에게 자기자신을 찾고, 개인의 삶을 만끽하는 것이 중요한 가치로 다가왔다. 여행을 즐기거나 취미를 통해 스트레스를 풀려고 하는 것도 결혼을 미루거나 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1.4 인간관계의 변화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SNS와 각종 네트워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변화하고 있고 온라인 세상에서 만남과 이별이 쉬워지면서 결혼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생겨왔다. 생활 궤도가 다양하게 변해가고 있어서 결혼이 자신과 상대방의 인생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안목이 각자에게 생긴 것이다.
**2.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않은 30대의 선택이 미래에 미치는 영향**
2.1 인구 감소 및 고령화 현상
젊은 세대들이 결혼을 미루거나 하지 않다 보니 출산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 인구감소로 이어지며, 고령화 현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는 노동력 감소와 복지부담 증가, 경제 성장률 하락 등과 같은 미래의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2.2 새로운 가족 모습과 가치관 변화
결혼을 하지 않았거나 늦게 결혼하는 세대들은 출산에 대한 이전의 가치관도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대가족 체제가 아닌 핵가족이나 부부 가족까지 축소된 삶의 가치를 가지게 될 것이다.
2.3 낮아진 출산율과 경제 발전 관계
결혼율이 낮아짐에 따라 출산율이 낮아지게 되면, 한국의 경제 발전에도 다양한 영향들이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 경제 지표와 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은 한국의 미래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30대들의 결혼을 미루거나 하지 않는 선택은 개인적인 가치관이나 사회적/경제적 순환 양상에 따른 영향들이 복합적으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의 선택이 미래의 사회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꾸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 구성원들이 이런 변화를 인지하고 적응하며 살아가는 것이 더 민주적이고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