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23. 10:02ㆍ카테고리 없음
왜 사람들이 비혼을 옹호할까? 최근 사회에서 비혼이라는 이슈가 점차 주목받고 있다. 토론대첩 등의 방송에서도 이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주고받기도 하며, 사람들의 입장도 매우 다양하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비혼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대응할까? 이 글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분석하고 그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
경제적 이유
일단 가장 먼저 거론할 수 있는 이유는 경제적 문제다. 현대사회에서 결혼은 실속이 없는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는 선택이 되어버렸다. 결혼 후 혼전 처럼 독립된 경제활동이 어려운 점 때문에, 결혼 후 경제적 자립이 어려우리라 생각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또한 부부 간의 경제용적 차이로 인한 신혼부부의 현실이 그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콘셉트의 변화
과거에는 결혼은 사회 정착의 한 형태로 인식되었으나, 현대에 와서 결혼이 강요받는 사회적 콘셉트는 점차 개선되어 나가고 있다. 사회인식의 변화로 인식되는 "결혼=행복"이라는 식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이에 따라 비혼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아톰가족화
세대 구성의 변화와 파견직으로의 취업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핵가족 구조가 사라지면서 아톰가족화 의 현상이 나타났다. 아톰가족화는 곧 결혼이상 강요의 감소로 이어져 비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허물게 되었다.
자기우선주의 증가
지난 10여년 사이에 시작된 자원봉사운동 등을 통해 전국적인 자기우선주의 증가가 일어났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가치와 적응력이 키워지게 됨에 따라, 개인의 삶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결혼을 강요하기 보다는 자신의 선택에 의한 평가는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핀란드 모델의 주목
핀란드 사회에서도 비혼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다. 지난 5년 사이 핀란드인이 결혼 비율이 평균 79%에서 83%로 상승한 반면, 카메리앙인의 비혼 비율은 현재 1%미만에 불과하다. 이를 통해 비혼을 선택하는 사람들을 노려마주하게 되면서 과거 한국사회의 비혼에 대한 태도 전환의 가능성도 인정되고 있다.
도시화 및 소득 격차
도시화 및 소득 격차가 확대되면서 사회자본이 변화하고 있다. 마주하는 경제적 어려움들도 이러한 변화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사회 정착이 힘들어지게 되면서 결혼에 대한 기대감도 줄어들게 되었다.
이상의 이유로 인해 비혼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토론대첩 비혼 에서 각종 주장을 대립하여 놓으며 사회가 대화를 이끌어 하루다리 나아지는 선진사회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비혼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듣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결혼이라는 전통적 가치와 비혼간 용천에 따라 충돌 클 경우 상처를 받는 사람이 없도록 세심히 주시해야 한다. 어떤 선택이 옳은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사회인권을 제공하는 것이 현상을 이끌어 나갈 중요한 척도라고 생각한다.